1.야생화 특징 살리기
야생화는 다른 꽃 사진과 달리 각각의 특징을 잘 살려야 사진으로 인정 받을 수 있다.
지금 부터 야생화 이쁘게 담기를 이용한 야생화 특징 살리기에 관해서 필자가 알고
있는 이야기 몇자 적어 볼까한다. 너무 길어 지면 지루하니까 요즘 만날 수 있는 꽃
으로 꾸며 보겠다.
1월에 만날 수 있는 꽃들
설중복수초
1월에 만날 수 있는 꽃으로 설중 복수초를 빼어 놓을 수 없겠다. 그런데 설중복수초 사진 담기가 여간
힘든게 아니다. 꽃이 피어야 되고 눈이 와야 되고 또 눈이 적당이 녹아야 되는 삼박자가 다 맞아야 되
니까 말이다. 일단 만나게 되면 흥분을 가라 앉히고 눈이 적당이 녹은 이쁜 대상을 찾아 보자. 꽃술에
는 별로 신경 쓰지 말고 노란색,흰색,흙색 세가지를 모두 담을 수 있게 앵글을 잡아본다. 그리고 노출에
신경 쓰고 흰 눈의 질감을 잘 살려야 한다. 위 사진처럼 눈에 햇살이 반짝이는 모습을 담으면 더 좋
겠다. 중요한 것은 눈은 하얗게 복수초는 노랗게 흙은 까맣게 만드는게 중요하다.
2월에 만날 수 있는 꽃들
앉은부채
이 사진은 실패작이다. 앉은부채의 중요한 촬영 포인트는 꽃 안에 알사탕에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알사탕이 빠지면 누구 말대로 앙꼬없는 찐빵 사진이 되어 버린다.
복수초
난반사가 심한 야생화라서 노출에 무진장 신경을 많이 써야되는 야생화이다. 내륙의 복수초 보다
해안가에 복수초들이 형광물질이 많이 담겨 있어서 촬영이 더욱 어렵다. 빛이 강해 난반사가 심할
경우 그늘에 있는 복수초를 찾아 보거나 아니면 몸으로 그늘을 만들어 촬영 해 보자. 그럼 하얗게 날
러가는 꽃색을 조금은 담을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 렌즈는 꽃술에 집중 촛점을 두고 광각과 망원
렌즈로는 배경이 먼 모델을 찾아서 이쁘게 담아 보도록...
만주바람꽃
다른 바람꽃에 비해 소대 단위로 무리지어 꽃 피우기를 좋아한다. 마이크로 렌즈로 꽃술에 촛점을 맞
춰 몇송이만 담아도 좋고 광각이나 망원으로 무리지어 담아도 아름답다. 가능하면 잎도 함께 담아 주
면 더욱 멋진 사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너도바람꽃
너도 바람꽃은 대개 무리지어 꽃을 피우지 않고 대개 혼자 꽃을 피운다. 촬영 포인트는 노란 젤리 같은
꽃술에 있다. 꽃이 작으니까 마이크로 렌즈로 촬영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노란 젤리 꽃술과 갈퀴잎을 잘 살려 보자.
산자고
배경이 좋으면 망원렌즈에도 잘 어울리는 대상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산자고는
양지바른 평지에서 꽃을 피우기 때문에 망원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대상이 적다.
산자고의 매력포인트는 햇살 듬뿍 담은 순백에 꽃잎에 있다. 역광에서 꽃잎에 담
긴 빛을 잘 담아 보도록...
노루귀
앵글을 높게 하고 평지에서 담으면 위 사진처럼 평범한 노루귀가 되기 쉽다.
노루귀는 뭐니뭐니해도 역광에서 솜털 뽀송한모습의 사진이 제일이다. 바위틈이나 이끼 주위에
피어있는 노루귀를 아침이슬 버전이나 역광 솜털 버전으로 담아 보자. 그런데 노루귀 생육 특성상
그런 대상을 찾기가 여간 힘든게 아니다.
이밖에 2월에 만날 수 있는 꽃들은 중의무릇,산괴불주머니...등이 있다.
3월에 만날 수 있는 꽃들
현호색
현호색은 종달새 모양의 꽃들을 잘 살려야 항다. 앵글을 이리저리 잘 잡아서 꽃들이 겹치지 않고 많이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촬영해 보자.
꿩의바람꽃
꽃이 피기전 모습도 이쁘지만 한장 정도는 뽀송 애기 솜털을 살려서 담아 보는
것도 좋다.
꿩의바람꽃은 날개짓 하는 꽃과 치마 닮은 잎을 잘 살리면 좋을 것 같다.
이 꽃도 색이 너무 희어서 난반사가 아주 심하다. 약간 그늘진 대상을 찾아 보고
노출에 신경을 써야 한다.
변산바람꽃
변산바람꽃은 꽃술과 잎을 잘 살려야 한다.
이밖에 3월에 만날 수 있는 꽃들로는 점현호색,처녀치마,울괴불나무,생강나무,
큰괭이밥,애기괭이눈,괭이눈,미치광이풀,얼레지,보라색노루귀 등이 있다.
야생화 사진은 전초사진 한장씩 담는 것 꼭 잊지 말아야 한다. 촛점은 주로 꽃
술에, 곤충이나 동물은 눈에 촛점을 준다. 그렇지 않으면 사진이 죽은 사진이
되어 버린다.
|
'산행 여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관련자료 (0) | 2011.08.22 |
---|---|
꽃 사진의 테크닉 (0) | 2011.08.22 |
산악풍경 어떡하면 잘 찍을 수 있을까 (0) | 2011.08.22 |
꽃 사진(寫眞) 촬영 (0) | 2011.08.22 |
사진기자가 말하는 잘찍는 법 (0) | 201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