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사진 촬영법
초보분을 위한 디카로 사진 잘 찍는 9가지 방법
1. 셔터는 투터치로 누르는 습관을 기른다.
2. 약간 어둡더라도 플래시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3. 똑같은 사진을 3번, 위치를 달리해 2번, 상하좌우로 위치를 바꿔 9장을,
찍는(일명 3.6.9 찍기) 습관을 들이면 디지털 카메라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
4. 10시와 2시 방향의 빛을 잡아 촬영한다.
5. 풍경사진은 1/3 지점에 지평선, 수평선을 맞춘다.
6. 조리개와 셔터속도의 관계를 확실히 정리한다.
7. 실루엣 촬영시에는 해가 떠오르는 순간과 해가 질 무렵의 시간을 적극 활용한다.
8. 야간 촬영시에는 감도(ISO)를 높이고 수동모드로 바꾼 뒤,
셔터속도를 낮추고 렌즈를 활짝 연다.
9. 무빙 촬영시에는 셔터속도를 높이고 연속 촬영한다.
눈 사진 잘 찍는 법
1. 눈(snow)을 자동측광하면 눈이 밝은 물질이기 때문에 측광에 있어 오버가,
발생되어 셔터스피드가 올라간다.
2. 결과적으로 얼굴은 어둡고, 눈 또한 어두운 회색으로 나오게 된다.
이럴 땐 적정노출보다 +1 정도 노출을 더 준 후 찍어본다.
3. 가장 편한 방법은손바닥에 카메라를 가까이 근접시켜 손바닥에 나타난,
노출값으로 노출값을 수정한 후 찍으면 정확하게 노출이 나온다.
4. 눈 내리는 사진은 저속셔터를 이용하자.
5. 셔터 스피드를 1/30초에 주고 찍으면 눈이 약간 길어져 리얼한 느낌이 눈이 표현된다.
6. 눈 내리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선 배경을 잘 골라야 하는데 어두운 배경을 골라야,
눈발이 강조되어 멋지게 표현된다,
7. 참고로 겨울철엔 배터리 소모가 빨라진다,
영하 10도 이하일 경우 급속도록 빨라지니찍지 않을 땐 카메라를 따스하게,
보온을 유지하도록 한다,
폭포사진 찍는 법
1. 폭포처럼 움직이는 피사체는 셔터 스피드값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2. 셔터 속도를 빠르게 하면 정지화면처럼 보이고 셔터 속도를 느리게 하면,
뽀샤샤하게 살아 있는 느낌의 사진이 된다,
3. 일단 셔터스피드가 1/30초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삼각대가 필수적이다,
사진 찍기 가진 좋은 시간대
1. 오전 8~10시, 오후 4~5시가 황금 시간대이나 계절과 그날의 기상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 오전 7시대엔 색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강한 콘트라스트의 사진을 얻을 수 있고,
반대로 오후엔 색 온도가 높아 따스한 느낌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3. 프로 풍경 작가들의 경우 일출과 일몰 즈음에 주로 촬영한다,
단체사진 찍을 때 초점은 어디에?
일단 조리개값은 8-11사이로 유지하고, 4줄로 설 경우 초점은 두번째 줄,
3줄로 설 경우 초점은 두번째 줄, 2줄로 설 경우 맨 앞줄,
인물사진 촬영법
1. 인물사진의 기본적 화면구성
① Full Shot(인물 전체) : 인물보다는 배경에 중점을 둔다.
② Knee Shot(무릎위 촬영) : 인물과 배경을 동시에 찍을 때.
③ Waist Shot(허리위 촬영) : 인물의 감정이 표현됨.
④ Bust Shot(가슴위 촬영) : 상체의 표현이 중점.
⑤ Up-Shot(Close-Up Shot, 얼굴촬영) : 얼굴을 Close Up 할 때는 머리는 잘려도.
반드시 턱을 살린다.
⑥ Big Close-Shot(얼굴의 특정부분 촬영) : 입술, 눈, 코, 귀 등
2. 한 사람을 중심으로 촬영 할 때에는 수직 구성으로 찍고, 주위환경이나 소품 등을,
함께 찍을 때에는 수평구성이 좋다. 이때에는 인물을 화면의1/3 위치에 놓는다.
(황금분활 화면구성을 사용)
3. 자동카메라로 인물위주의 배경을 함께 찍을 때에는 먼저 Shutter Button을 살며시,
반을 눌러서 인물에 초점을 맞추고, 다음에 카메라를 돌려서 화면 정면을 향해 찍으면,
인물과 배경이 선명하게 찍힌다.
4. 얼굴 표정만을 Close-Up할 때에는 카메라를 눈높이에서 찍는 것이 좋다.
5. 배경이 인물의 눈 좌우로 가로지르는 선은 보기에 흉하다.
특히, 바다의 수평선 등이 인물의 목 주위를 가로지르는 선은 피해야한다.
이렇때에는 카메라 높낮이로 조정한다.
6. 인물을 Close-Up할 때에는 배경을 죽이고 인물을 살린다.
즉, Shutter Speed를 올리고(1/250, 1/500) 조리개를 열어서 f8, f5.6, f4,로 한다.
7. 인물사진은 역광으로 찍거나 또는 태양이 얼굴 측면 즉, 45°방향으로 비추게 하면,
명암이 대조(Contrast)를 이루어 깊이가 있는 사진이 된다.
8. 피사체인 인물은 몸을 약간 우측으로 하고 얼굴은 좌측을 보게하면,
(또는 그 반대의 자세) 변화가 있다.
9. 여자의 전신을 찍을 때에는 양다리를 벌리지 말고 일자형으로 해서 하나의 다리로,
보이게 하라.
10. 인물은 반드시 카메라를 보지 말고 측면을 보게 하라.
11. 인물사진은 렌즈를 135mm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12. 증명사진 이외에는 정면에서 찍지말고 사진포즈에 변화를 주어라.
13. 인물사진에서는 반드시 바라보는 시야의 여백을 넓게 주어라.
14. 태양이 비추는 실내 창가에서의 인물사진은 1/125초에 f5.6 또는 f8을 하면,
얼굴의 명암이 대조를 이루어 좋은 작품이 된다.
15. 인물사진의 배경을 인물 뒤 1m로 하라.
16. 여자의 화장은 핑크색, 루즈의 색깔은 붉은색으로 하면 사진의 색채감이 좋다.
17. 인물사진은 전신, 무릎, 허리, 가슴, 목의 순서로 close-up하되 머리 상부를,
짤라도 턱은 반드시 나와야 한다.
18. 인물 전신을 찍을 때, 화면의 크기는 인물의 상하 여백을 머리위 2,
발아래 1인 2:1의 비율을 반드시 유지해야 한다.
19. 웨딩사진은 조리개 우선으로 f8, f5.6이 좋다.
20. 인물을 역광으로 촬영할 때에는 1stop 또는 2stop 밝게 찍는다.
반사판을 사용해서 적정을로 찍는다. Flash를 사용한다.
밝고 어두운 2개의 피사체가 동시에 있을 땐 어두운 피사체에 반사판을 사용한다.
계절별 사진찍기 좋은곳 출사지 모음 |
[봄] - 꽃 10 - 20 / 벚꽃 / 쌍계사, 금산사, 송광사, 수원팔달산 일주도로, 신탄진, 대청땜, 쌍계사 불일폭포, 오산 송전저수지, 예당저수지, 용평, 덕유산, 무주안국사, 지리산 실비단폭포, 한라산 Y계곡, 임실 운암호, 방태산계곡, 강진 하율치, 소매물도, 경북 보경사 내연산폭포, 진안 마이산 하진부, 김포 운양동, 굴포천, 강화 황산도, 현인암, 신선봉, 방태산, 양양 구룡령, 백담사 가야동계곡, 봉정계곡, 현리 방태산계곡, 진부령 수항리계곡, 인제 남교리계곡, 한계령 소승폭포, 오대산 소금강, 월정사, 주왕산, 월악산 덕주 계곡정상, 단양 중선암, 해인사, 주산지, 양수리 수종사, 대둔산, 지리산 점령치, 라제통문 대덕산 고개, 지리산 노고단, 주천, 덕유산, 청평 복장리고개, 기타 전국각처를 새벽에 나가면 신천지가 열림. 주남, 김제 목천, 화학산 계곡, 진도 갈두, 지리산 마천골, 맹방 해수욕장, 삼척 남방궁촌, 신남 해신당, 망양 휴계소남쪽, 영덕 강구, 구룡포 해수욕장, 감포 연동, 감포 대본리, 양남 수렴리, 감포 대왕암, 안면도 황도, 거제 학동 사자바위, 한목 해수욕장, 통영 용화산, 제주 일출봉, 삼방산 형제섬, 백령도 두무진, 양양 오산리, 남해 금산, 고흥 용정, 양수리, 진도 갈두, 태안 학암포, 신두리, 아산 휴계소, 대천, 변산 채석강, 제주 차귀도, 설악 천변, 지리산 제석봉, 천왕봉, 미시령, 남애리 항구, 강릉 송암리, 고흥 내발, 해남 방축리, 진도덕병, 강능경포호, 철원, 밤섬, 태백산 문수봉, 설악동, 횡계, 춘천구곡폭포(빙벽), 무등산 입석대, 해남 백련사, 해남 대둔사, 거제 학동, 대천 비인, 선운사, |
'산행 여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 도봉산 릿지 지도 (0) | 2011.08.22 |
---|---|
경북문경,충북 괴산의 명산 (0) | 2011.08.22 |
사진관련자료 (0) | 2011.08.22 |
꽃 사진의 테크닉 (0) | 2011.08.22 |
야생화찍는기법 (0) | 201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