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바 나침반은 1930년 스웨덴에 오리엔티어링 붐이 일어나면서 당시의 으뜸가는 주자였던 브옌, 어비트, 알바르등 첼스트롬 3형제가 고안 제작한 것으로 이들은 실바 나침반을 사용하여 수많은 경기대회에서 우승했다. 그 후 실바나침반의 우수성을 널리 인정받아 북구제국에서 유렵 전역에, 그리고 미국, 캐나다로 퍼지게 되었다. 현재는 호주와 아프리카 및 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에 퍼졌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산악 및 오리엔티어링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나침반은 자침, 회전하는 나침반 틀, 그리고 투명한 밑판 3개의 기본부분<그림1>으로 되어 있다.
자침은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사파이어(sapphire) 축받이 위에 얹혀 있고, 그 북단은 적색으로, 남단은 흰색으로 칠하여 남북을 식별하기 쉽게 되어 있으며,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야광도료를 칠한 것도 있다.
나침반 틀은 상부의 테두리에는 4개의 주요방위, 즉 북, 동, 남, 서의 머리글자 N, E, S ,W가 표시되고, 그 사이에 아라비아 숫자가 기록되어 있다. 그 선 사이에 2도 단위로 구분한 짧은 선이 새겨져 있다. 나침반 틀의 내부 바닥에는 이 나침반 틀의 360도, 즉 N을 똑바로 가리키는 북방지시 화살표와 그와 평행한 북방지시 보조선이 6개 그어져 있다.
밑판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투명한 모양이며 진행선과 진행 보조선이 새겨져 있는데 이 진행선은 나침반 틀 위에 있는 도수선과 연결되었거나 혹은 그것과 일직선상에 있어서 나침반이 세팅되었을 때의 눈금을 알려주는 지표의 구실을 한다.
밑판의 긴 변은 진행선과 평행하며, 긴 변과 위의 변은 측량에 편리하도록 밀리미터(mm)와 인치(inch)로 되어 있고, 보통 지도의 축척을 재는 자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모델에 따라서는 1:15,000, 1:25,000, 1:50,000의 축척의 자가 새겨져서 사용하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밑판에는 대부분 확대경이 붙어 있어서 지도 기호 및 지도의 세부 지형을 판독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실바 나침반의 특징이라면 투명한 밑판이 자유로이 회전이 가능한 나침반 틀을 장치하고, 그 틀 속에 특수 기름을 넣은 투명한 캡슐로 조립하여 자침의 움직임이 안정되어 보기 쉽게 되어 있다. 이 나침반이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아 널리 사용하게 된 것은, 다른 나침반에 비해 몇 가지 현저한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 각도기의 기능을 갖추고 있는 분도기형의 나침반이므로 각도의 측정이 쉽고, 나침반의 긴 변과 나침반 틀 속의 북방지시 화살표로 각도가 자유로이 측정되고 그 각도가 긴 변과 평행한 진행선에 명확히 나타나는 점으로 실바나침반 최대의 특징이다.
둘째, 나침반 틀 속에 특수 기름을 넣어 자침이 일순간에 정지하도록 되어 있어 각도 측정이 빨리 이루어진다. 대개의 나침반, 특히 군용으로 쓰이는 나침반은 작은 진동에도 영향을 받아 자침이 정지하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으나, 이 나침반은 이러한 불편이 없다.
셋째, 밑판이 투명한 플라스틱이므로 지도 위에 올려놓았을 때에 다른 나침반처럼 나침반 밑의 지형이 가려서 보이지 않는 불편이 없고 또한 작은 기호를 읽을 때에 편리하도록 확대경이 달려 있다.
넷째, 조작법이 간단하여 몇 분 이내에 그 기본 조작법을 익힐 수 있다. 따라서 스웨덴이나 북부 유럽, 미국, 캐나다 등 여러 나라의 각급 학교에서 교재로 사용하고 있을 정도다.
나침반을 어떻게 하면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독도의 기본이므로, 나침반을 이해하고 실제 지형에서 바르게 조작할 수 있도록 익혀두어야 한다.
먼저 나침반의 진행화살표가 전방을 향하게 하고 떨어지지 않게 손바닥 위에 얹어 수평이 되게 잡는다. 목적지의 방향으로 향할 때에는 나침반을 손에 잡은 채로 고정시키고 몸체를 천천히 돌려서 자침의 N과 북방지시 화살표가 겹쳐지게 한다.
다이얼을 돌릴 때는 나침반을 든 손의 반대의 손으로 다이얼을 돌린다. 지도상에서 사용할 때에는 나침반을 든 손의 반대편 손으로 지도와 나침반을 같이 겹쳐 잡는다. 그리고 엄지로 나침반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누르고 나침반을 든 손으로 다이얼을 돌린다.
목표물의 방위각 측정 다음은 그 나침반을 가지고 목표물이 보이는 지형에서 방향을 측정하는 방법<그림2>이다.
현재 위치에서 목표물을 향해 똑바로 서서 나침반의 진행 화살표가 목표물을 향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나침반을 흔들리지 않게 하고 나침반의 다이얼을 돌려 북방지시 화살표와 자침의 N(붉은색 혹은 검은색)이 겹치게 한다. 이 때 진행선에 일치하고 있는 다이얼의 눈금을 읽으면 현재지점으로부터 목표물까지의 방위각이 된다.
또 임의로 정해진 각도로 진행을 할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만약 70도의 방위각으로 진행하고자 할 때의 방법이다. 먼저 다이얼을 돌려서 진행선에 70도를 맞춘다. 그리고 나침반을 수평으로 들고 진행 화살표가 전방을 향하도록 선다. 나침반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자침의 N과 북방지시 화살표가 겹칠 때까지 서서히 몸 전체를 돌린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몸을 돌리지 않고 나침반의 다이얼만을 돌려서 자침의 N과 북방지시 화살표를 맞추면 각도가 변하여 진행선은 70도를 가리키지 않는다. 또 자침의 N과 북방지시 화살표가 당연히 겹쳐져야 하는데 자침의 S(백색)와 겹쳐 있으면 반대(250도)의 방위각으로 나가고 만다.
자침의 N과 북방지시 화살표가 겹쳤을 때, 진행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70도의 방향이다. 진행선의 연장선상에 있는 목표물을 정해서 그 지점까지 걸어간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해 나가면 70도의 방위각에 있는 최종목적지에 도착하게 된다.
다음은 도착점에서 출발점으로 되돌아오는 방법이다. 숲 속에서 길을 잃었거나, 강이나 오목한 지형, 동굴 등의 장애물을 우회한 후 본래의 방위각대로 진행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거나, 그 지점으로부터 되돌아 나오는 데 쓰이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후퇴방위각이라 한다. 이 방법은 등산하면서 길을 잃어 버렸을 때 많이 쓰이는 방법이니 만큼 눈여겨보기 바란다.
잠깐 여기서 후퇴방위각<그림3>에 대해서 알고 넘어가자.
이 방위각은 방위각의 반대 방향의 방위각이다. 후퇴방위각을 구하려면 방위각이 180도, 또는 그 이하일 경우에는 180도를 더하고 방위각이 180도, 또는 그 이상일 경우에는 180도를 뺀다. 즉 후퇴방위각은 플러스(+) 마이너스(-)180도이다. 따라서 방위각 180도에 대한 후퇴방위각은 0도 또는 360도이다. 예를 들면,AB의 방위각이 60도이라면 AB의 후퇴방위각(즉 BA방위각)은 방위각이 180도 이하이므로 방위각은 60도+180도=240도가 된다.
원점으로 돌아와서, 출발점에서 되돌아오는 방법은 첫 번째는 목표지점에 도착하면 다이얼을 돌리지 말고 그대로 뒤로 돌아 북방지시 화살표와 자침의 S극을 겹치게 한다. 그리고 진행화살표의 방향으로 전진한다. 본래의 방위각대로 진행했으면 원 위치로 돌아오게 될 것이다. 주의할 것은 목표지점에 도착했을 때 다이얼을 돌리게 되면 올 때의 각도를 기억하고 있지 않는 한, 원래의 지점으로 돌아갈 수가 없다.
도착점에서 출발점으로 되돌아가는 방법 중 두 번째 방법<그림4>이다.
목표지점에 도착하면 그 자리에서 뒤로 돈다. 나침반에 세팅시켜 놓은 것을 고치지 말고 그대로 놔둔 채 진행방향 화살표가 몸 쪽을 향하도록 나침반을 거꾸로 잡는다. 나침반의 북방지시 화살표와 자침의 N극을 겹치게 한다. 그리고 거슬러 가기만 하면 된다. 다음은 지도상에서 진행 방향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나침반 사용의 가장 기초적인 방법으로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나침반 조작 1,2,3이라는 것과 같다.
지도상에서 목적지의 방위각을 측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첫번째, 지도상에서 현재 위치(출발점)와 목적 지점을 찾는다.
두번째, 진행 화살표의 방향을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나침반의 긴 변을 일치시킨다(이 때 자침은 무시한다).
세번째, 나침반을 움직이지 말고 북방지시 화살표 또는 북방지시 보조선이 지도에 표시된 자북선과 평행하게 했을 때, 진행선과 만나는 눈금이 진행방향(목적지)의 방위각이 된다.
목표 지점의 방위각을 측정할 때에, 지도를 반드시 정치(正置)한 후 방위각을 측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이 실바 나침반의 편리한 점이라 할 수 있다. 북방지시 화살표 또는 북방지시 보조선과 지도의 자북선을 평행하게 할 때, 북방지시 화살표는 반드시 지도의 위쪽(북쪽)을 향하도록 하여야 한다.
실제의 지형과 지도의 방향이 일치되게 놓는 것을 지도정치(地圖正置)라고 한다. 즉 지도의 북쪽이 정확히 진북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지형지물에 의한 방법과 나침반에 의한 방법이 있다.
지형지물에 의한 방법
나침반이 없을 때, 나침반을 사용할 수 없을 때, 도로, 철도, 제방, 송전선 등 일련의 확실한 지형지물을 찾아 지도상의 지형지물과 일치시킴으로써 정치<그림5>된다.
지도의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알고 또 다른 하나의 선형 지형지물이 보이지 않을 때는 기타 현저한 물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지도 사용자는 지도상의 물체가 실제의 물체를 가리킬 때까지 지도를 돌리면 된다.
나침반에 의한 방법
이것은 지도의 자북선이 그려져 있는 지도를 사용해야 하는데 오리엔티어링 지도는 자북선을 그려 놓았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일반 지형도에는 자북선 즉, 자침편차각을 수정해야만 가능하다. 그러나 방법은 같다.
지도를 수평으로 놓고 지도의 자북선과 나침반의 북방지시 화살표가 겹치도록 한다. 그리고 자침의 N극과 북방지시 화살표가 일치되게 하면 정치가 된 것이다. 지도를 돌릴 때에는 나침반이 지도 위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교차법(교회법)
교차법이란 이미 알고 있는 2개 혹은 3개의 지점을 이용하여 지도상에 밝혀지지 않은 미지 지점의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을 말하는데 교회법이라고도 한다. 이 방법은 전방교차법과 후방교차법이 있다.
<전방교차법>
<그림6>은 지도상의 자기 위치는 알고 있으나 알고자 하는 지점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찾을 수 없을 때 이용하는 방법이다.
지도정치를 한 후 지도상에 자기 위치를 표시한다. 그리고 미지의 지점에 대한 자북 방위각을 측정하고, 지도상에 자기 위치와 미지의 지점을 나침반의 긴 변을 이용하여 선을 그린다. 그 다음 미지의 지점이 보이는 다음 지점에 이동하여 지도상에 이 지점의 위치를 표시하고, 다시 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 위의 순서를 반복하면 두 선이 합쳐지는 교차점이 나온다. 이 교차점이 알고자 하는 지점이다.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제3의 위치에서 다시 측정한다.
<후방교차법>
<그림7>은 전방교차법의 반대로 지도상에서 현재의 위치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 때 주위에 알고 있는 2~3개의 지점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먼저 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 이미 알고 있는 지상의 2개 또는 3개의 지점 위치를 찾아내어 지도상에 표시한다. 이들 지점에 대한 자북 방위각을 측정하여 지도상에 이미 알고 있는 지점으로부터 미지의 지점으로 선을 긋는다. 2번째의 지점에서도 동일한 순서로 선을 그으면 교차점이 생긴다. 그 교차점이 알고자 하는 현재의 위치이다.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제3의 지점에서도 동일한 순서로 선을 그어 교차점을 구한다.
자연, 인공물에 의한 방위 측정
나침반이 없을 때 방향측정에는 자연물에 의한 방법과 인공물에 의한 방법으로 방향을 알 수 있다. 자연물에 의한 방법으로는 태양, 별, 나무, 이끼 등이 있다. 인공물에 의한 것은 가옥, 묘지, 시계 등이다. 봄, 가을에 해가 뜨는 쪽은 동쪽이고, 정오에는 남쪽에 있다. 겨울에는 남동쪽에서 뜨고 남서쪽으로 진다.
야간에 북극성을 찾으면 정확한 북쪽을 알 수 있다<그림8>.
북두칠성의 국자 모양 끝부분의 7번째 별 즉, 6번째 별과 7번째 별의 거리에서 5배가 되는 위치에 작은곰자리가 있는데 이것이 북극성이다. 이 북극성은 항상 북쪽이라 해서 진북(true north)이라 한다.
나뭇가지가 많이 자라고 잔가지가 많이 뻗쳐 있는 쪽이 남쪽이며<그림9>, 베어진 나무 그루터기의 나이테가 넓게 보이는 쪽이 남쪽이고, 껍질이 두껍고 나이테의 간격이 좁은 곳이 북쪽이다. 바위에 이끼가 많은 쪽이 북쪽이다.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을 보아 대개 짐작하는 방법이다. 초승달은 오전 6시경에 동쪽 하늘에 있고, 오후 6시경에는 서쪽 하늘에 있다. 반대로 보름달은 오후 6시경에 동쪽에서 떠서 오전 6시경에 서쪽으로 진다. 상현달은 오후 9시경에 서쪽 하늘에 떠있고, 하현달은 오전 3시경에 남쪽 하늘에, 오후 9시경에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그림자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평지에 막대를 곧게 세우고 그림자의 끝을 표시한 후, 그림자의 끝이 5cm 정도 움직일 때까지 기다린다(1m의 막대는 10분쯤 기다리면 된다). 다음에 움직인 그림자의 끝을 표시하여 이 두 점을 연결하면 처음의 끝이 서쪽이고 나중의 끝이 동쪽이 된다<그림10>.
봄, 여름의 바람은 대략 남풍이고, 가을, 겨울의 바람은 대략 북풍이다. 대개의 우리나라 가옥들은 남향집이 많다. 그러나 한두 집만 가지고는 속단하기 어렵다. 무덤 혹은 비석은 대개 남쪽을 향하고 있다.
시계의 시침을 태양과 일직선이 되게 들고 있을 때, 시침과 12시 방향과의 각도를 2등분한 방향이 남쪽이다<그림11>또한 수평한 곳에 수직으로 세운 가는 나무나 성냥개비의 그림자와 시계의 시침을 일치시키면 더 정확하다. 시게의 숫자 판이 나와 있는 전자시계는 측정이 불가능하다.
나침반 조작 1,2,3
나침반 조작 1,2,3은 나침반을 사용하여 아래의 하나, 둘, 셋 방법으로 지도상에서의 목표물의 방향을 측정하여 쉽게 진행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프로트랙터형 나침반 곧, 분도기의 기능을 갖춘 나침반이 갖는 기능의 기본적인 사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나, 지도 위에 나침반의 긴 변을 현재지점과 목적 지점에 댄다<그림12>. 이 때 나침반의 진행 화살표는 목표 지점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둘, 나침반의 다이얼을 돌려서 북방지시 화살표나 북방지시 보조선을 자북선과 평행이 되도록 한다<그림13>. 이 때 진행선과 만나는 눈금을 읽으면 목표 지점의 방위각이 된다.
셋, 지도에서 나침반을 들어 진행 화살표가 앞으로 가도록 가슴에 대고 자침의 N극이 링의 북방지시 화살표와 일치할 때까지 몸을 돌린다<그림14>. 이 때 진행 화살표의 방향이 목적 지점의 방향이다.
지도 사용법
13-1.자북선 긋는 방법
지도의 밑 부분을 보면 도자각 「6°50′」등으로 적혀 있다. 이것은 컴퍼스의 바늘이 가리키는 북쪽과 지도에 그려진 실제의 북쪽과 그만큼 차이가 난다는 뜻이다. 위의 경우라면 컴퍼스는 지도의 경선(세로로 그어진 선)보다 6°50′서쪽을 가리킨다는 뜻이 된다.
그 이유는 지도는 지구의 진북(지리학적 북극의 방향, 진방위를 측정하는 기준 방향)을 기준 삼아 그려진 것이고 컴퍼스가 가리키는 북쪽은 장소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지도에 적힌 각도만큼 줄을 하나 그으면 해결된다. 지도를 구입한 후 곧 이각도(편차 각도)를 확인하고 제일 오른쪽 끝의 경선에 그 각도의 선을 따로 그려 넣는다. 이선을 '자북선'이라고 한다.
이 편차 각도는 별로 큰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문제가 생기지 않는데 다만 길을 잃었을 때 문제가 된다. 컴퍼스를 사용하여 길을 찾을 때 자북선을 기준으로 삼지 않으면 정확한 방향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13-1-1.자북선(磁北線) 긋는 방법 (자침 편차각 6°인 경우)
|
|
①360°에서 편차각 6°를 뺀 354°를 진행선에 맞춘다.
②지도상의 경선과 북방지시 화살표 or 북방지시 보조선과 일치되도록 맞추어 놓는다.
③나침반의 긴 변을 따라 선을 긋는다.
④ 이것이 6°의 편차각을 조정하여 구한 자북선이다.
⑤이때 나침반 사용이 편하도록 붉은 색 볼펜을 사용하여(흑색펜으로 작도시 지도상에서 등고선등과 혼돈을 초랴함) 자북선을 4Cm간격(1:25,000지형도에서 실제거리 1Km, 1:15,000지형도에서 실제거리 600m)으로 그으면 지도상에서 목적지까지의 방위각 측정 및 정치에 편리하다. 대개의 경우, 오리엔티어링용 지도에는 이미 자북선이 그려져 있다.
13-1-2.삼각함수에 의한 자북선 긋기
자북선을 긋는 방법으로 나침반 조작에 의한 방법이 있으나, 도(度) 이하의 수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므로 보다 정확히 자북선을 긋는 방법으로 탄제트(Tangent)에 의한 방법을 사용한다.
(자침 편차각 6°인 경우)
①삼각함수표에서 6°의 tan값을 찾는다.(tan6°=0.1051)
②지도상의 어느 한점 A에서 진북의 방향으로 직선을 긋고 그 선상에서 AB=100mm가 되도록 B점을 정한다.
③B지점에서 직선 AB에 직각을 이루는 좌측에 직선 BC=10.51mm가 되는 점 C를 구한다.
④A, C를 연결하는 직선이 자북선이 된다. 즉, ?AC는 6°가 된다.
13-2.지도 정치법(地圖 正置法)
실제의 지형과 지도의 방향이 일치되게 놓는 것을 말한다. 지도의 북쪽이 정확히 도북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지형 지물에 의한 방법과 나침반에 의한 방법이 있다.
13-2-1.지형 지물에 의한 방법
현지에서 지도상에 찾을 수 있는 뚜렸한 지형지물 2개를 선정하고 눈짐작으로 지상 목표물과 도상목표물이 일직선이 되도록 지도를 움직인다.
지형 지물중 가장좋은것은 도로나 철도등의 선형지형으로 이러한 선형지형과 지도상의 지형을 일치시키면 지도를 정치할 수 있다.
13-2-2.나침반(자북선)에 의한 방법
①지도를 수평으로 놓는다.
②지도의 자북선과 북방 지시 화살표 or 북방 지시 보조선이 겹치도록 나침반을 놓는다
③자침의 N극과 북방 지시 화살표가 일치될 때까지 지도를 돌리면 지도가 정치된다.
13-3.지도에서 자기의 위치 파악
길을 잃고 지금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을 때는 숲속이나 골짜기일 경우에는 우선 높은 곳으로 올라간다. 그리고 그곳에서 보이는 것 중 지도에도 나와 있을 것 같은 산이나 지형을 두개만 정한다.
그리고 이 두 목표물이 지도에서는 어디에 나와 있는가를 찾아내면 자기가 있는 데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13-3-1.제대로 된 길을 찾아 나설 수 있는 좀더 자세한 위치파악 방법
①목표물 A를 마주 보고 선다.
②컴퍼스의 링을 돌리면서 컴퍼스의 진행선이 목표물 A를 보게 하고 링 안의 화살표와 컴퍼스의 북이 같이 겹치도록 만든다.
③그때의 화살표가 만드는 눈금을 읽는다. 이것이 A의 각도이다.
④같은 방법으로 목표 B의 각도도 알아낸다.
13-3-2.지도 위에서 하는 작업
①자북선과 평행이 되게 줄을 몇개 그어 두면 일하기가 쉽다.
②컴퍼스의 북에 맞춰서 지도를 바로 놓는다.
③컴퍼스의 앞쪽 모서리를 지도 위의 목표물 A에 갖다 댄다.
④링의 눈금을 조금 전에 알아낸 A의 각도에 맞춘 다음 링 안의 화살표를 자북선과 평행이 되게 만든다.
⑤이것으로 컴퍼스 위치가 정해진 셈이다.
⑥연필로 선을 그어 둔다.
⑦B에 대해서도 같은 식의 작업을 한다.
⑧A로부터 나온 선과 B로부터 나온 선이 마주친다.
바로 그곳이 지금 자신이 위치한 곳이다. 이때 유의할 점은 자북선을 긋는 것을 잊고 경선으로 기준을 삼으면 위치가 틀린다는 것을 잊지 말라야 한다.
14.목표물의 방위각
측정 목표물이 보이는 지형에서 그 방향을 측정하는 방법
①현재 위치에서 목표물을 향해 똑바로 서서 나침반의 진행 화살표가 목표물을 향하도록 한다.
②그 상태에서 나침반을 흔들리지 않게 하고 나침반의 링을 돌려 북방지시 화살표와 자침의 N(붉은 색 or 검은 색)이 겹치게 한다.
③이때 진행선(도수눈금)에 일치한 링의 눈금의 수치가 현재 지점으로부터 목표물까지의 방위각이 된다.
ⓐ진행선을 목표물의 방향과 일치 시킨다.
ⓑ다이얼을 돌려서 북방 지시화살표와 자침의 북단을 일치시킨다.
ⓒ이때의 도구 눈금의 숫자가 방위각이다.
15.지시된 각도로 진행하는 방법
(60°의 방위각으로 진행하고자 할 때의 방법)
①링을 돌려서 진행선에 60°를 맞춘다.
②나침반을 가슴 앞에 수평으로 들고 진행 화살표가 전방을 향하도록 선다
③나침반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자침의 N과 북방 지시화살표가 바로 겹칠 때까지 서서히 몸 전체를 돌린다.
④자침과 N과 북방지시 화살표가 겹쳤을 때, 진행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60°의 방향이다.
⑤진행선의 연장 선상에 있는 목표물을 정해서 그 지점까지 걸어간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해 나가면 60°의 방위각에 있는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게 된다.
16.도착점에서 출발점으로 되돌아 가는 방법
숲속에서 길을 잃었거나, 강이나 오목한 지형, 동굴 등의 장애물을 우회한 후 본래의 방위각대로 진행하고 있는 가를 확인하거나, 그 지점으로부터 되돌아 나오는데 쓰이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백 베어링(Back bearing)이라 하고, 후퇴 방위각을 뜻하고 있다.
①도착하면 링을 돌리지 말고 그대로 뒤로 돌아 북방지시 화살표와 자침의 S극(흰색)을 겹치게 한다.
②진행 화살표의 방향으로 전진한다. 본래의 방위각대로 진행했으면 원 위치로 돌아오게 될 것이다.
17.교차법(交叉法)
2개 or 3개의 지점을 알고 있는 지점을 사용하여 모르는 지점상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통상 지도상에 밝혀지지 않는 지형지물의 위치를 알내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통상 지도상에 밝혀지지 않는 지형지물의 위치를 알아내는데 사용되는데 여기에는 전방 교차법과 후방 교차법이 있다.
17-1.전방교차법(前方交叉法)
지도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고 있으나 알고자 하는 지점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찾아낼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 |
|
|
①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
②지도상에서 손쉽게 확인되고 실제 지형에서 잘 보이는 목표를 두개이상 선정하여 지도에 표시한다.
③실제 지형의 Q1지점에서 미지의 지점 [P]까지의 자북 방위각을 측정한다.
④지도상의 Q1지점에 나침반의 긴변 아래 모서리를 대고 나침반을 돌려 자북선과 북방 지시 화살표 or 북방 지시 보조선이 평행이 되게 한다.(이때 자침은 무시한다.)
⑤나침반의 긴변을 따라 전방으로 직선을 긋는다.(Q1-P)
⑥미지의 지점[P]이 보이는 다른 위치(Q2)로 이동한다.
⑦Q2지점에서 ③④⑤동작을 반복한다. 이들 두 직선 Q1P, Q2P가 교차하는 점이 전방에 있는 미지의 지점[P]이다.
17-2.후방교차법(後方交叉法)
지도상의 현 위치가 분명하지 않을 경우, 2개 or 3개의 알고 있는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현재 확인법 or 크로스 베어링(Cross bearing)이라고 한다.
|
|
|
①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
②실제 지형에서 알고 있는 2개 or 3개의 지점을 찾아 지도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자면 교량, 산봉우리, 공장, 학교, 교회 등 찾기 쉬운 지형지물을 택한다.
③나침반을 바르게 들고 진행 화살표를 Q1의 방향에 맞춘 다음 링을 돌려서 자침 N극과 북방 지시화살표가 겹치도록 돌려 진행선과 일치하는 눈금을 읽으면 미지의 지점[P]까지의 자북 방위각이 된다.
④지도상의 Q1지점에 나침반 긴변의 윗 모서리를 대고 나침반을 돌려 자북선과 북방 지시화살표 or 북방 지시 보조선이 평행이 되게 한다.(이때 자침은 무시한다.)
⑤나침반의 긴변을 따라 후방으로 직선을 긋는다.(Q1-P) ⑥또 다른 목표물 Q2지점의 자북 방위각을 측정한다.
⑦Q2지점에서 ④⑤ 동작을 반복한다.
⑧이 두직선 Q1P, Q2P가 교차하는 점이 현재 위치(P)이다. 이때도 정확을 기하기 위해서는 알고 있는 제 3의 지점을 이용하여 작도하면 된다.
이 경우에도 전방 교차법과 마찬가지로 3개의 선에 의해서 선에 생긴 삼각형이 클 때에는 다시 실시해 보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삼각형의 내접원의 크기가 직경 0.4mm내외이면 그 중심을 정확한 위치로 간주한다.
17-3.나침반 조작 [1, 2, 3]
나침반 조작 [하나, 둘, 셋]이라는 것은 나침반을 사용하여 아래의 [하나], [둘], [셋]으로 지도상에서의 목표물의 방향을 측정하여 쉽게 진행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프로트래거형 나침반(Protractor type Compass) 곧, 분도기의 기능을 갖춘 나침반이 갖는 기능의 기본적인 사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
①[하나]-지도위에 나침반의 긴 변을 현재 지점과 목적 지점에 댄다. 이때 나침반의 진행화살표는 목적 지점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나침반의 긴변을 현재지점과 목적지점에 댈 때에 지도를 정치할 필요가 없다.
②[둘]-나침반의 링을 돌려서 북방 지시화살표나 북방 지시보조선을 자북선과 평행이 되도록 한다. 이때 진행선과 만나는 눈금을 읽으면 목표 지점의 방위각이 된다. 나침반의 링을 돌려서 북방 지시화살표를 자북선에 일치시킬 때 필히 북방 지시화살표는 지도의 위쪽을 향하도록 한다. 자침은 무시한다.
③[셋]-지도에서 나침반을 들어 진행화살표가 앞으로 가도록 가슴에 대고 자침의 N극이 링의 북방 지시화살표와 일치할 때까지 몸을 돌린다. 이때 진행화살표의방향이 목적 지침의 방향이다.
자침의 N극과 북방 지시화살표를 일치 시키기 위하여 몸을 돌릴 때, 나침반과 몸이 함께 움직이어야 한다. 목적 지점의 방향을 알았다고 해서 똑바로 갈수는 없다. 먼저 그 방향선 상에 뚜렷한 목표물을 정한 다음 나침반을 보지말고 거기까지 간다.
거기서 다시 그 방향선상에 새로운 목표를 정하여 찾아 가는 것을 되풀이 하여 목적지에 접근하는 것이다.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는 처음에 맞추어 놓은 링은 움직이지 않은 것이 좋다.
18.방향유지법
지도상에서 결정된 방위각을 어떻게 유지하면서 목적지까지 가는 가 하는 방법
18-1.중간목표 선정 방향유지
①목적지와 현 위치와의 거리와 소요시간을 산출한다.
②목적지와 현 위치를 그은 직선상에서 찾기 쉬운 지형지물을 중간 목표로 선정한다.
③각 중간 목표와의 거리와 소요시간을 산출해 둔다.
④중간 목표물을 잘 알고 이를 정확히 찾아가면 나침반을 항시 보지 않고도 목적지까지 갈 수 있다. 도중에 후방 교차법에 의하여 현 위치를 확인해 본다.
18-2.빗나간 진로의 수정
옳게 전진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진로를 수정하는 방법 or 분기점 같은 곳에서 옳은 방향의 길을 선택한다든가 전진한 길이 옳은 방향의 길인가를 확인할 때에 사용한다.
①지도상에서 진행방향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P지점에서 목표물 Q의 방향을 정하고 그 방향을 향해 선다.
②자침의 N극과 북방 지시화살표를 겹치도록 하고 진행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한다.
③어느 정도 전진하다 뒤로 돌아 P지점을 향해 바르게 한다. 이때 자침 S극과 북방 지시화살표가 겹쳐지면 옳은 방향으로 전진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빗나가 있다면 좌우로 이동하여 자침 S극과 북방 지시화살표가 일치하는 지점[R]을 찾는다.
④R지점에서 다시 뒤로 돌아 자침 N극과 북방 지시화살표를 일치시키면서 전진한다.18-3.장애물 우회(迂回) 방향 유지법 전진 도중에 호수, 늪 등의 장애물이 있을 때 우회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경우 호수나 늪처럼 그 장애를 통해서 건너편이 보이는 경우와 보이지 않는 경우의 두가지가 있다.
18-3-1.보이는 경우
건너편이 보이는 장애물인 호수, 경작지 등은 건너편의 진행 방향상에 뚜렷한 목표물을 설정하고 우회하여 그 위치에서 출발지점의 후퇴방위각을 측정하여 일치되는 가를 본다.
18-3-2.보이지 않을 경우 (90°우회법)
|
앞에 장애물이 있을 때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90°를 회전하여 장애물을 벗어날 수 있는 거리만큼 가서 계속진행선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2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90°를 회전하는 순간에 자침의 북단과 북방선 화살표를 일치시킨 채 나침반을 옆으로 잡고 진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림처럼 진행선은 항상 전방을 향한 채 90°회전의 순간에 자침과 북방선 화살표를 90°가 되게 유지하는 방법이다.
'산행 여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안전 산행을 위하여 (0) | 2011.02.03 |
---|---|
등산 용어들 (0) | 2011.01.31 |
산악지도 보는법 (0) | 2011.01.31 |
[스크랩] 500대 명산(순위별) (0) | 2011.01.31 |
무릅에 대하여....., (0) | 2011.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