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산(白雲山 882.5m)은 51km에 이르는 동강의 중간지점에 동강을 따라 6개의 봉우리가 이어져 있다. 동강은 강원도 정선, 평창 일대의 깊은 산골에서 흘러내린 물줄기들이오대천, 골지천, 임계천, 송천 등이 모여 정선읍내에 이르면 조양강(朝陽江)이라 부르고 이 조양강에 동남천 물줄기가 합해지는 정선읍 남쪽 가수리 수미마을에서부터 영월에 이르기까지의 51km 구간을 동강이라고 따로 이름했다.
이 동강은 영월읍에 이르러 서강(西江)과 합해지며, 여기서 이윽고 강물은 남한강이란 이름으로 멀리 여주, 서울을 거쳐 황해 바다까지 흘러간다. 동강에서 바라보는 백운산은 정상에서 서쪽으로 마치 삼각형을 여러개 겹쳐 놓은 듯한 여석개의 봉우리가 동강을 따라 이어져 있고 동강쪽으로는 칼로 자른 듯한 급경사의 단애로 이루어 져 있다.
백운산은 2003년 동강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어 경관이 아름답고, 조망이 좋으며 생태계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한국의 100대명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점재나루에서 정상을 올라 제장나루까지 여섯 개의 봉우리를 오르내린다.
백운산 산행앵의 진미는 뱀이 또아리를 틀은 것 같은 굽이굽이 돌고돌아가는 동강의 강줄기를 능선따라 계속 조망할 수 있는데 있다. 등산로는 6개의 봉우리를 가파르게 오르고 가파르게 하산하며 주로 참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능선 왼쪽 동강쪽은 낭떨이지 같은 급경사 단애이다. 군데군데 위험구간이 있고 가팔라 가족산행은 무리이고, 산을 좀 다닌사람이나 가능할 정도이다. 특히 비가오거나 눈이 왔을 때는 산행을 피하는게 좋다.
강원도 정선에서 흘러나온 조양강과 동남천이 합쳐져서 이뤄진 동강의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다 흰구름이 늘 끼여 있다고 하여 백운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지며, 이 지역 주민들은 '배비랑산' 또는 '배구랑산'이라고도 부른다.
동강을 끼고 있는 백운산의 모습은 `태고의 신비'와 `천혜의 비경'까지 갖추고 있어 마치 신선이 된 듯한 기분마저 든다. 특히, 백운산은 크고작은 5개의 봉우리들로 능선을 이루고 있는 데 이 능선을 따라 등산을 하면 굽이굽이 흐르는 동강과 주변 산들이 연출해내는 절경을 한 눈에 감상할 수 있다.
산행의 시작과 끝에는 대체로 동강을 건너야만 한다. 숲은 주로 참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고 정선군·평창군·영월군의 동강 일대는 2002년 6월 생태계보존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부근에 천연기념물 제260호인 백룡동굴이 있다.
능선 구간은 등산로가 벼랑 끝으로 아슬아슬하게 걸려 있어 위험하므 로 비가 오거나 땅이 젖었을 때는 산행을 삼가는 것이 좋다. 또 산중에는 물을 구할 곳이 없기 때문에 사전에 물 준비를 잊지 말아야 한다.
|
백운산 산행정보 |
동강을 건너 비경의 숲으로... | 동강옆에 수직으로 솟아있는 백운산은 동강의 비경이 알려지면서 비로소 산행인들의 주목을 끌기 시작한 산이다. 백운산은 동강옆에 거의 수직으로 솟아 있다. 점재라는 곳에서 나루터를 건넌다음 올라가는 백운산은 물을 건너간 다음 산행하고 산행한 다음 다시 물을 건너와야하는 산이다.
동강까지의 접근이 쉽지 않은데다 강 넘어의 푸른산을 보면서도 뱃편을 기다려야 하고 산행을 끝낸 뒤에는 아랫도리가 젖을 정도로 깊은 물살을 헤치며 강을 다시 건너야 하는 등 난코스인 백운산이지만 산의 갈림길 주변의 수목에 걸린 리본을 보면 많은 팀들이 산행을 한 것 같다.
동강옆 넓은 자갈밭에서 하루밤 야영한 뒤 백운산을 바라보니 주봉을 비롯하여 주봉에서 강쪽으로 뻗은 지능선 봉우리의 한쪽면이 절단된 채 병풍처럼 강을 둘러치고 그 아래로 유유히 흘러내려가는 강물을 내려다보고 있다.
그것은 마치 거대한 삼각형을 눈앞에 중첩시켜놓은 듯한 모양을 하고 있다. 피라미드가 경탄을 자아낸다면 동강옆 백운산의 삼각형 암면의 중첩된 삼각형 패턴도 경탄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하얀 자갈밭, 단애아래의 숲지대, 그리고 화가가 마음대로 브러쉬를 놀린듯 붉은 색이 도는 색깔과 희색이 적당히 혼합된 대석면이 강을 내려다 보고 있다.
점재나루에서 건너편을 향하여 소리치니 사공이 강변에 연결해놓은 철색을 잡으며 배를 이동시켜온다. 강을 건넌다음 풀숲이 무성한 강변을 따라 내려오다가 급경사 산록으로 올라간다. 숲은 울창하지만 초여름 오후의 열기때문에 매우 덥다.
가만히 서 있어도 미끄러지는 급경사이지만 이만한 경사라도 있기에 백운산 접근이 가능한 것이다. 사실 광하리에서 동강을 따라 내려오면서 강쪽으로 단애를 이룬 산과 능선이 많아 거의 올라가기 어려웠던 사실을 생각하면 동강바로 옆에 800미터나 되는 산 백운산을 오르게 된 것은 행운이라고 할까?
더구나 백운산 능선은 구비치는 동강을 내려다보며 6개의 봉우리로 형성되어 있고 그 봉우리 전부가 강쪽으로 단애를 이루고 있어서 백운산은 사실 동강을 끼고 산행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이렇다.
보통산과 같은 봉우리와 여섯개의 능선봉이 길게 이어지고 있는데 이 봉우리와 능선 날등을 길이로 절반되게 자르면 그것이 백운산과 그 지봉이 된다. 물론 잘린 쪽은 모두 단애이고 단애아래는 푸른 띠를 이룬 동강이 흘러간다.
산이 굽어돌면 물도 구비를 이룬다. 주봉에서 30분쯤 급경사를 올라가니 비로소 안부가 나왔다. 이곳은 이중으로 즐거움을 주는 안부다. 이제부터는 능선산행이 되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후덥지근하던 공기가 시원한 바람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안부란 것이 여름 산행에서 하나의 지향점이 되는 이유다. 대개의 경우 거기에는 시원한 바람이 기다리고 있다. 극단적으로 달라진 기온때문에 국지적인 기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능선은 산비탈 급경사에 비해서는 훨씬 완만한 편이라 오르기가 쉽지만 군데군데 주의해야 할 곳이 없는 것도 아니다.
숲사이로 동강이 보이기 시작한다. 드디어 올라선 전망대에서 고성리에서 크게 사행하는 동강이 가운데 숲언덕을 역U자를 그리며 사행하는 경관이 내려다 보인다. 발아래엔 백운산 오른쪽 절벽아래로 흐르는 물줄기가 푸르다.
그러나 물줄기도 물줄기이지만 백운산의 절단된 한쪽면에서 지봉에 이르기까지의 수직에 가까운 암벽의 기념비적인 모양새다. 그 눈부신 고도감에 현기증이 일어날 지경이다. 석면은 매끈하지 않고 우둘투둘하게 바위모서리가 무수히 비죽비죽 드러나 있지만 모가 나 있어서 예리한 느낌과 위험성을 배가시켜주는 듯하다.
백운산의 암릉코스의 바위들은 45도각도로 줄무늬가 가있는 것들이다. 그 무늬는 처음엔 고목토막처럼 보일 정도로 마치 목리 나무결과 닮았다. 이 바위들의 무늬는 물에 의한 영향으로 생긴 것들인지도 모른다.
위의 전망대를 올라가면 경사는 조금 완만해지고 숲에 가려져 주변의 조망이 막히는 곳에서 능선봉은 끝나고 주봉으로 이어지는 조금 완만한 능선이 된다. 방향은 눈앞에 제법 우뚝 솟은 숲우거진 주봉쪽(북서방향)으로 조금 돌아가고 고성리 일대와 백운산줄기를 싸고 도는 물줄기의 굽이속에서 능선끝자락은 마치 푸른 주걱모양으로 보인다.
능선은 암릉이라고 하기에는 바위가 적지만 조금 올라가면 바위턱이 하나 있기는 있다. 이곳에서의 조망도 시원하여 고성리 일대를 사행하며 흐르는 동강이 내려다보인다. 정상을 앞둔 얼마동안은 급경사를 이룬 산사면이 이어지는데 산록에는 수피가 유난히 두꺼운 굴참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나무들은 동강을 닮으려는지 가지가 제대로 뻗은 나무는 찾아보기 힘들다. 구불 구불하거나 휘어 있어서 그로테스크한 느낌을 준다. 그러나 숲바닥은 초본류가 무성하여 쫙 깔려있어서 시원한 느낌이 각별하다. 정상은 곧 나타나지만 갑자기 스타가 된 새내기 탤랜트처럼 명함도 없다.
삼각점도 표지석도 없는 것이다. 하다못해 표고를 적은 비닐 표지판조차 없다. 부근에 동네가 없어 동네청년회가 있는지 모르지만 있다면 그돌도 백운산이 갑자기 유명해지리라고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조망을 위해 주변의 나무를 조금 정리하고 공터를 만들어 놓았지만 바닥은 아직도 잘게 부서진 낙엽부토가 그대로 땅을 덮고 있다.
그냥 정상까지는 가는 것으로 생각하고 올라왔던 터라 정상에서 꽤 망설여졌다. 능선은 유순한듯하지만 봉우리가 서너개는 되는 것 같아 과연 해지기 전에 산행을 끝낼 수 있을 것인지, 또 칠죽령 아래 나루터가 있을 것인가 하는 의문도 발목을 붙잡으려 했다.
점재나루의 경우처럼 나룻배가 있어도 배를 이동시킬 사람이 먼데 있다면 사용할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강을 건넌 다음 고성리리버 관광을 지나 점재나루까지 오는데는 차가 뜸한 탓으로 차를 얻어타기가 힘들다면 야간행로가 될지도 모른다.
시간은 5시가 가까워져 있었다. 정상까지 2시간 40분이나 걸린 것이다. 사진을 찍느라고 시간을 지체했지만 적어도 2시간은 걸리는 코스인 것만은 확실해보인다. 그러나 산 저아래 푸른 동강은 어디로 흘러가는가?...
그것이 알고 싶어 단지 그 흐름 하나때문에 산행을 계속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 길이 고행길임이 얼마 가지 않아 드러났다. 서너개의 봉우리로 보았지만 알고 보니 백운산에서 칠죽령까지는 주봉을 포함, 6개의 봉우리가 기다리고 있었다.
서울에서 5시간이상 차를 몰고온 터라 피로도가 한계치에 도달한 것도 문제가 되었고 오늘따라 29도가 된다던 높은 기온도 체력을 떨구는데 도움이 되었다. 여름철이라 8시경에 해가 지리라는 계산을 했기에 망정이지 백운산산행을 하려면 적어도 오전중에는 점재나루를 건너야 할 것 같다.
이 코스가 어려운 것은 주봉은 물론 지봉들의 내리막 길이 모두 바위로 된 급경사인데 있었다. 고도가 조금씩 낮아지기는 하지만 정상에서 강바닥까지 극히 일부분을 제외하고 600여미터정도가 바위로 된 급경사인 셈이다. 보행속도를 올리기가 힘들었다.
게다가 한쪽은 가도 가도 천길 낭떠러지를 이루고 있어서 곳곳에 지나가기 어려운 아름다운 전망대가 나타나서 동강의 물굽이를 내려다보기에 아주 좋았다. 백운산의 높이가 882미터, 강바닥의 해발고도는 270미터정도이다.
능선의 높이가 700미터라면 단애의 높이는 430미터가 된다. 600미터라면 330미터가 넘는다는 얘기다. 이정도의 단애라면 근처에만 가도 오금을 저리게 만들기에 충분한 높이다. 게다가 백운산능선은 칠죽령까지는 400미터의 고도는 유지하고 있다. 100여미터의 단애는 끝까지 계속된다는 얘기다.
이런 강변단애의 형성은 동강의 지질학적 유래를 설명하는 구조를 알아야 할 것이다. 설악산의 하늘벽이 얼마나 높은지 모르지만 이곳 단애야 말로 하늘벽의 연속이다. 물줄기만 보기 좋은 것이 아니라 백운산의 동남쪽 대단애가 너무도 시원시원하여 근경, 중경이 숨막히는 경관을 보여준다.
점재쪽 능선과는 달리 남으로 내려갈수록 시간이 더 지체되는 것은 어쩔 도리가 없다는 생각이었다. 고성리버관광에서 코스의 말미에 있는 제장마을까지는 나리소, 바리소, 가마소등과 여울이 있었지만 소의 깊이를 가늠하기는 어려웠다. 색깔이 비슷했기 때문이다.
모두가 깊어 보인다. 능선에서는 소나무도 나타나고 숲이 울창해도 바위틈과 나무틈새로 동강의 푸른 물줄기는 시야를 떠나는 일은 없다. 이런 경치가 어디에 또 있을 것인가? 산과 강의 경관이 어울어진 기막힌 비경이다.
팔봉산에서 홍천강을 내려다 본 적이 있지만 그곳 경관이 단막극이라면 이곳의 강산 어울어짐은 장막극이다. 칠죽령이 저만치 보이는 산록에서 서쪽 산능선 아래로 내려다보니 푸른 강물이 서녁햇살을 받고 반짝이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도대체 동강은 어디로 흘러가는 것인가. 광하리에서 들어오면서 대충 그 흐름을 파악해둔 동강이지만 고성리에서부터는 유로의 향방을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다가는 예기치 않게 등뒤에서 동강의 푸른물이 반짝이는 것은 아닌가 싶을 정도다.
그런 의외성이 칠죽령을 오르기전 자루목같은 안부의 서쪽에 나타난 것이다. 그 부근 어디에 백룡동굴이 있을 듯했다. 칠죽령의 울창한 숲을 지나면서 더는 봉우리가 없이 제장까지 내리막길이다. 제장의 낮은 능선에서 내려서서 포도밭을 지나 강변 자갈밭으로 나오니 시계는 7시가 가까워지고 있다.
포도밭을 가꾸던 아주머니에게 강을 건너가는 방법을 물으니 강바닥중 얕은 곳으로 차가 다니던 자국이 있으니 그리로 가라는 것이었다.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여 카메라등을 비닐로 싸서 배낭속에 다시 넣고 준비를 단단히 하고 넓은 강을 건너는데 강속 길은 조금만 벗어나면 돌이 미끄러워 미끄러질 판이다.
물이 맑아 바닥이 보일 정도이다. 이 길은 물이 조금만 불어나도 걸어서 지나가기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다. 어쨌거나 땀에 젖은 몸의 일부분이나마 물속에 넣으니 시원하기 그지 없었다. 강을 건느며 백운산을 바라보니 강변을 따라 6개의 봉우리를 연결한 긴 능선이 스카이라인을 이루고 있다.
강을 건너오면 신동읍 상수도 취수장이라는 건물이 나오고 상수원보호를 위해 금지되는 사항들을 적은 큰 간판이 서 있다. 시멘트도로를 따라 골짜기로 들어서서 조금 들어가면 아스팔트 포장도로가 나온다. 여기서 방향을 틀어 왼쪽으로 올라가기전 길가에 고성리버관광(민박, 급류타기 프로그램회사)까지 1km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생각보다 거리가 짧아 안심이 된다.
야영은 점재에서 고성리버관광쪽으로 내려오면 차가 들어갈 수 있는 넓은 자갈밭이 나타난다. 백운산 산그림자가 이미 땅꺼미를 가져온 지 오래다. ※ 백운산 능선에는 물이 없으므로 나룻배를 건너가기전에 반드시 물을 준비하도록 한다.
※ 동강 : 강원도 영월군 동강은 태초의 고요함과 멋을 맛볼 수 있는 강으로 남한 최후의 비경이라 할 수 있다. 상류부터 시작되는 수직 절벽의 장관, 래프팅을 하면서 수 없이 만나는 무명 절벽은 동강의 특징이다.
자연 경관 역시 수려해 어라연계곡(魚羅淵溪谷)·황새여울을 비롯해 곳곳에 기암절벽과 비경이 펼쳐지고, 주변에는 가수리(佳水里) 느티나무, 정선 고성리산성(古城里山城:강원기념물 68), 두꺼비바위와 자갈모래톱 등 빼어난 명승이 산재한다.
옛날에는 정선군 북면 아우라지에서 목재를 뗏목으로 엮어 큰물이 질 때 서울까지 운반하는 물줄기로 이용되다가 1957년 태백산 열차가 들어오면서 수운(水運) 기능을 잃고 아무도 찾지 않는 오지로 바뀌었다.
1993년 영월 일대의 대홍수로 읍내의 절반 이상이 물에 잠기면서 영월다목적댐(동강댐) 건설 계획이 본격화되었다. 이어 정부에서는 1996년부터 2002년까지로 사업 기간을 정하고 댐 건설사업을 시작하였으나 지역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은 물론 전 국민적인 반대에 맞닥뜨려 결국 2000년 6월 댐 건설계획은 백지화되었다.
동강이 전국적인 명소로 알려지고, 많은 관광객들이 찾기 시작하면서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심화되자 환경부에서는 2002년 6월부터 정선군·평창군·영월군의 동강 일대를 생태계보존지역으로 지정해 취사와 야영을 금지시켰다.
◐ 점재나루→강변길→급경사→안부→정상→남서릉→칠죽령→강횡단→고성리→고성리버관광→점재 ◐ 점재나루→점재마을→백운산 정상→칠목령→취수장 ◐ 점재나루→전망대→암릉→백운산 정상→남릉→돌탑→칠목령→제장나루터 (약 5시간) ◐ 점재나루→수리봉 능선→백운산 정상→용아릉 능선→제장마을 (약 5시간)
⊙□☞ 지도검색 : 국토지리원 지도검색서비스 ⊙□☞ 날씨정보 : 기상청 주요산 날씨예보 ⊙□☞ 로드플러스 : 실시간 교통정보 ⊙□☞ 철도청 : 코레일 기차편정보
◐ 영월→태백산맥 방향 31번, 38번 국도→신동읍→석향역→예미역 초입좌회 전(1Km)→왼쪽 고성리 입간판→시멘트 포장도로→예미초등학교 고성분교(2Km)→점재나루
◐■☞ 강원도[江原道]의산 리스트 : 강원도[江原道]의 모든산 목록표 ◐■☞ 강원도[江原道]의산 : 강원도[江原道]의 모든산 위치도 ◐■☞ 관광지도 : 강원도[江原道] 생활지도 서비스 ◐■☞ 관광지도 : 강원도[江原道] 관광지도 서비스 ◐■☞ 교통정보 : 강원도[江原道] 교통정보 서비스 ◐■☞ 강원도[江原道] : 강원도[江原道] 문화관광 홈페이지 ◐■☞ 관련 사이트 : 사이버 강원관광 홈페이지
◐■☞ 정선군[旌善郡]의산 : 정선군[旌善郡]의 山 위치지도 ◐■☞ 정선군[旌善郡]의산 : 정선군[旌善郡]의 모든산 목록표 ◐■☞ 교통정보 : 정선군[旌善郡] 교통정보 서비스 ◐■☞ 관광지도 : 정선군[旌善郡] 관광지도 ◐■☞ 관광지도 : 정선군[旌善郡] 관광지도 서비스 ◐■☞ 관광지도 : 정선군[旌善郡] 관광지도 서비스 ◐■☞ 등산지도 : 정선군[旌善郡] 등산안내지도 서비스 ◐■☞ 관광지도 : 정선군[旌善郡] GIS 관광지도 서비스 ◐■☞ 정선군[旌善郡] : 정선군[旌善郡] 문화관광 홈페이지 ◐■☞ 대한민국전도 : 대한민국 전도 보기 ◐■☞ 대한민국주변도 : 대한민국 주변도 보기 ◐■☞ 세계전도 : 세계 전도 보기
※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원본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